
(전국의 17.9%로 가장 많음)
*전력‧열 생산이 아닌 소비 기준 산정
(전국의 2.0%)
(전국의 13.1%)
(전국의 86.4%)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3.9%로 전국 평균(9.2%) 대비 매우 낮은 수준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BAU) 대비 30% 감축(46,970천톤)목표 설정
(2020년 전망치 157,143천톤 – 목표치 110,173천톤 = 46,970천톤)
1생태 안전망 구축
2농·축산업 기후적응력 확대
1저탄소 도시 인프라 구축
2저탄소 산업 육성
1도민 참여 저탄소 에너지 전환
2저탄소 에너지 공동체 지원
감축량: 13.9백만 톤
감축량: 7.8백만 톤
감축량: 1.3백만 톤
감축량: 0.1백만 톤
감축량: 13.9백만 톤
신재생에너지 기술, 에너지 효율화 기술, 환경오염저감 기술 등 녹색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
저탄소 사회로의 대전환을 추진하고,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경기침체와 사회적 불평등 동시 타개
에너지 신산업 육성,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 공정한 전환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기본계획 수립, 기후변화영향평가, 정의로운 전환
경기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2010, 2011~2020), 제2차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2022, 2022~2030)
경기도 에너지비전2030(‘15.6.)
2030경기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15.6.)
경기도형 그린뉴딜 발표(2020.7.)
(예정) 경기도 탄소중립 기본계획
ㆍ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ㆍ탄소인지예산 시범 추진
ㆍ공공 및 민간주택 태양광 보급 사업(35개소, 7,038가구, 13.9MW)
ㆍ도민참여 이익공유형 에너지 자립 선도사업(18개 사업, 2,129kW)
ㆍ경기도 탄소중립 선도사업 선정
ㆍ2개 부문 13개 사업
ㆍ평택항 탄소중립 복합지구 조성 선포(‘21. 5.)
ㆍ안산 및 평택 수소 시범도시 조성(‘20~’23)
ㆍ제1회 경기도 탄소(C)공(Zero)감(Go) 행사('21. 10.)
온실가스 감축, 기후위기 적응
신재생에너지 전환
탄소중립도시
친환경차 보급 확대
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
탄소중립 기본조례
탄소중립 위원회
탄소중립 추진계획
지역사회 확산
에너지협동조합
탄소중립지원센터
기후대응기금
탄소중립이행책임관